아마존 20년 연속 육아법 베스트셀러
전세계 22개국 번역 출간
판매 누적 부수 15만 부, 유튜브 누적 조회수 1,000만 이상
기네스 팰트로, 케이트 스필버그, 〈아이 엠 샘〉 감독 제시 넬슨이 극찬한 육아서
“부모가 자신을 대하는 방식대로
아이들은 세상을 이해하고 대하게 됩니다”
아이의 뇌와 마음 발달의 관계를 뇌과학으로 증명한 육아서의 고전
누적 판매 100만 부 이상을 기록한 세계적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인지심리학자, 아동 정신과 전문의인 대니얼 시겔의 육아서 『
부모의 내면이 아이의 세상이 된다』가 한국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대니얼 시겔과 아동 발달 전문가 메리 하트젤이 공동 집필한 작품으로,
두 사람의 인연은 시겔의 딸이 메리가 운영하는 유치원에 다니면서 시작되었다.
40여 년간 의학과 과학을 연구한 시겔과, 30년간 현장에서 아이들을 직접 돌보고 관찰해 온 메리가 힘을 합쳐 완성한 이 책은,
부모의 어린 시절 경험이 육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며 부모가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책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부모와 자녀 사이의 친밀한 관계가 자녀의 두뇌와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며,
안정적인 부모-자녀 관계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9가지 핵심 요소를 제시한다.
또한 자녀와의 경험, 유대감, 애착, 대화법 등 다양한 요소를 하나하나 짚어 보며, 부모가 자신의 내면을 이해하고 존중할 때 자녀와의 관계도 더욱 건강해질 수 있음을 강조한다.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ㆍ 어떻게 기억하는가? : 경험
신발 쇼핑 방식을 대물림하다 | 울지 마, 아가야 | 기억이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 결정 한다 | 문제를 인지하면 해결책이 보인다 | 받아들이면 나아갈 수 있다
부모라면 알아야 할 우리 아이 뇌과학
2장 ㆍ 어떻게 세상을 이해하는가? : 이야기
좌뇌와 우뇌로 세상을 인지한다 | 좌측/우측 처리 모드의 협력으로 서사가 만들어진 다 | 일관성 있는 이야기가 통합을 이룬다
부모라면 알아야 할 우리 아이 뇌과학
3장 ㆍ 어떻게 느끼는가? : 감정
물속에서 연결되는 기분을 느끼다 | 정서적 소통이 이루어지면 유대감을 느낀다 | 양 버즘나무를 건너다 | 정서적 관계를 맺으면 소통의 문이 열린다 | 통합적인 의사소통 이 유대감을 키운다
부모라면 알아야 할 우리 아이 뇌과학
4장 ㆍ 어떻게 소통하는가? : 유대감
반응성과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 현실 부정은 아이에게 혼란을 준다 | 언어적 신호와 비언어적 신호를 일치시켜야 한다 | 마음을 열어야 의사소통의 채널이 열린다 | 과정과 내용에 주의를 기울이면 서로 연결된다
부모라면 알아야 할 우리 아이 뇌과학
5장 ㆍ 어떻게 애착을 형성하는가? : 관계
애착이 발달을 결정한다 | 일관적으로 반응할 때 안정 애착이 생긴다 | 무반응은 회피형과 양가형 애착을 만든다 | 두려울 때 혼란형 애착이 형성된다 | 애착 유형에 따라 의사소통 패턴이 다르다 | 관계가 변하면 애착도 변한다
부모라면 알아야 할 우리 아이 뇌과학
6장 ㆍ 어떻게 삶을 이해하는가? : 성인 애착
부모라면 자신의 삶을 이해해야 한다 | 성인 애착 유형에 따라 자녀가 다른 영향을 받는다 | 애착에 대해 성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안정 애착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부모라면 알아야 할 우리 아이 뇌과학
7장 ㆍ 어떻게 평정심을 유지하고, 어떻게 무너지는가? : 높은 길과 낮은 길
낮은 길로 들어서면 벗어나야 한다 |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으면 낮은 길에 갇힌다 | 자신을 돌아보면 탈출구가 보인다 | 상호작용을 반복하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 문제에 맞서 극복해야 한다
부모라면 알아야 할 우리 아이 뇌과학
8장 ㆍ 어떻게 끊어지고, 어떻게 다시 연결되는가? : 균열과 복구
가벼운 균열은 빈번하게 발생한다 | 모호한 한계 설정은 균열을 만든다 | 파괴적 균열이 일어나면 반드시 복구해야 한다 | 수치스러운 경험이 방어기제를 만든다 | 노력으로 관계를 복구할 수 있다 | 복구 과정을 시작하는 것은 부모의 역할이다 | 액셀과 브레이크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 장난감 가게에서 싸움이 일어나다
부모라면 알아야 할 우리 아이 뇌과학
9장 ㆍ 어떻게 마인드사이트를 발달시키는가? : 공감과 성찰적 대화
의도를 가지고 마음을 챙겨야 한다 | 마인드사이트 능력으로 타인의 마음을 볼 수 있다 | 마음의 기본 요소를 알아야 한다 | 부모는 아이의 서기관이다 | 연민을 갖는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부모라면 알아야 할 우리 아이 뇌과학
되돌아보기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