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충전하는 사이에'
똑같은 기계가 아닌 예술가를 꿈꾸다
“창의력과 자기표현의 힘을 아름답게 그린 책!”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점》 작가 피터 H. 레이놀즈
어딘가 남다른 로봇, 색다른 꿈을 꾸다
물감 한 방울에서 시작된 로봇의 이야기
모든 예술이 그러하듯, 이 로봇의 이야기도 우연히 찍힌 물감 한 방울로부터 시작한다.
가장 작은 마이크로칩일 때부터 남들과 달랐던 로봇은 그 작은 우연이 만든 필연적인 삶을 살아간다.
아무리 애를 써도 친구들처럼 능률적으로 일하지 못하고,
모두가 충전하는 사이에 멋진 꿈을 꾸며, 작은 새 소리에도 쉽게 마음을 빼앗기는 것이다.
하지만 해야 할 일이 정해져 있는 로봇에게 그런 감정을 마음껏 누릴 자유는 허락되지 않는다.
프로그래밍을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면 최악의 경우, 기계 처리장에 끌려가게 될지도 모른다.
본인에게 허락되지 않는 크고, 화려하고, 웅장한 꿈을 꾸게 된 주인공은 과연 어떻게 될까?
내 심장을 뛰게 하는 건 뭘까?
진짜 나다운 ‘나’를 찾아가는 여정
언뜻 주인공이 로봇이기에 그 여정이 유독 험난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사실,
꿈을 찾아가고 창의성을 마음껏 펼쳐가는 과정은 누구에게나 똑같다.
로봇이건 사람이건 생각의 틀을 깨고, 자신이 진짜 원하는 것을 찾아가는 일은 어려운 법이다.
때로는 가장 낯설고 가장 비효율적인 길을 선택해야 할지도 모른다.
어느 순간에는 실패했다고 좌절하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우리 모두는 남과 다른 나만의 개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마치 주인공 로봇처럼. 내 심장을 자꾸만 뛰게 하는 일이 있다면 곰곰 떠올려 보자.
나만 알고, 나만 할 수 있는 일을 향해 나아가다 보면 어느 순간 아름답게 반짝이는 모습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진짜 나다운 ‘나’를!
딱 한 발만 내디뎌 봐!
자신만의 색으로 물들이는 다채로운 세상
주인공 로봇의 모습은 어린이와 닮았다.
종종 엉뚱하게 자신만의 세계로 빠져들고, 무한한 가능성으로 자유롭게 꿈을 꾼다.
특히 정비소로 가는 길을 잘못 들어서는 바람에 비상구 문을 열게 되고,
불쑥 바깥으로 나서는 모습은 호기심 가득하고 천진한 어린이의 모습을 잘 담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다른 세계를 경험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주저하는 어린이들이 더 많아진 것 같다.
딱 한 발을 내딛지 못하는 다른 로봇들처럼 말이다.
작가는 관리자 로봇을 통해,
어린이들이 마음껏 개성을 발휘하기 위해선 그 꿈을 존중하고 북돋아 줄 사회와 어른들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모든 어린이가 꿈을 향해 성큼 한 발을 내딛고,
자신만의 색으로 세상을 다채롭게 물들일 수 있도록 함께 응원하는 그림책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