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고 재미있게 알려주는 천문학의 모든 것!
『청소년을 위한 코스모스(Cosmos)』은 코스모스를 뒤흔든 30가지 천문학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들려준다.
달 위상을 재현하기, 해시계 만들기, 태양흑점 관찰하기, 미니 태양계 만들기 등
이 책에 제시된 30가지 실험들은 방법도 다채롭고 난이도도 다양하다.
각 실험을 차근차근 따라하다 보면 영화에서 보던 우주를 직접 내 손으로 만들며 우주의 비밀을 파헤쳐 볼 수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천문학에 호기심을 느끼지만 쉽게 접근하지 못한다.
이에 저자들은 ‘쉽고 재미있는’ 천문학을 답으로 제시한다.
천체 사진가이자 우주 칼럼니스트인 에마뉘엘 보두엥과 물리학 교수 카트린 에벙 보두엥 부부가
쉽고 재미있는 실험을 통해 천문학에 대해 쉽게 알려주고 있는 것이다.
밤마다 모습을 바꾸어 나타나는 달을 발견한 선사시대 인류, 별자리를 만들어 낸 메소포타미아인들,
달 표면을 걸은 첫 번째 인간 닐 암스트롱까지 지난 2,000년 동안 우주를 뒤흔든 20가지 발견의 순간을 함께 재현해 볼 수 있다.
목차
들어가며
1. 32,000년 전, 선사시대 인류가 달위상을 관찰하다
실험 : 달위상을 재현하자 (★)
2. 7,000년 전, 메소포타미아인들이 별자리를 고안하다
실험 : 전갈자리를 찾아보자 (★★)
3. 3,000년 전, 이집트인들이 해시계를 발명하다
실험 : 해시계를 만들자 (★★★)
4. 3,000년 전, 이집트인들이 변광성을 알아보다
실험 : 변광성을 관찰하자 (★★★)
5. 2,400년 전, 그리스인들이 행성에 이름을 지어주다
실험 : 화성의 이동을 관찰하자 (★★)
6. 2,300년 전, 아리스토텔레스가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하다
실험 : 월식 때 지구의 둥근 그림자를 관찰하자 (★)
7. 2,300년 전, 헤라클레이데스가 지구가 도는 것을 발견하다
실험 : 큰곰자리의 이동을 관찰하자 (★★★)
8. 2,300년 전, 피테아스가 지구의 기울기를 측정하다
실험 : 지구의 기울기를 측정하자 (★★★)
9. 2,200년 전, 에라토스테네스가 지구의 원주를 측정하다
실험 : 지구의 크기를 추산해 보자 (★★★)
10. 2,200년 전, 히파르코스가 천체의 식을 예측하다
실험 : 일식이 언제 돌아올지 계산해 보자 (★★★)
11. 2,200년 전, 히파르코스가 별들을 밝기에 따라 분류하다
실험 : 세 별의 ‘등급’을 비교하자 (★)
12. 2,000년 전, 중국인들이 태양흑점을 관측하다
실험 : 태양흑점을 관찰하자 (★★)
13. 1,100년 전, 알 수피가 안드로메다은하를 발견하다
실험 : 거대한 안드로메다은하를 찾아보자 (★★)
14. 1,000년 전, 알 하이삼이 어둠상자를 이해하다
실험 : 어둠상자를 만들자 (★★)
15. 1,000년 전, 중국인들이 초신성을 관측하다
실험 : 게성운 M1을 찾아보자 (★★★)
16. 500년 전, 레오나르드 다 빈치가 지구반사광을 발견하다
실험 : 지구반사광을 그려 보자 (★)
17. 500년 전, 코페르니쿠스가 태양중심설을 내세우다
실험 : 미니 태양계를 만들자 (★)
18. 400년 전, 케플러가 행성들의 운동을 방정식화하다
실험 : 궤도 위를 나아가는 지구의 속도 변화를 관찰하자 (★★★)
19. 400년 전,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하늘을 관측하다
실험 : 목성의 위성들이 어떻게 움직이나 알아보자 (★)
20. 400년 전, 갈릴레이가 태양중심설을 옹호하다
실험 : 금성의 위상 변화를 관측하자 (★★)
21. 350년 전, 호이겐스가 토성고리를 발견하다
실험 : 망원경으로 토성을 관찰하자 (★)
22. 300년 전, 핼리가 혜성이 돌아오리라 예측하다
실험 : 미니 혜성을 만들자 (★)
23. 230년 전, 허셜이 쌍성을 이해하다
실험 : 맨눈으로 쌍성을 관찰하자 (★★)
24. 200년 전, 프라운호퍼가 분광학을 개발하다
실험 : 분광기를 만들자 (★★★)
25. 180년 전, 베셀이 별들의 거리를 측정하다
실험 : 3D 별자리 모형을 만들자 (★★)
26. 150년 전, 스키아파렐리가 별똥별의 기원을 이해하다
실험 : 유성진을 거두어 보자 (★★★)
27. 120년 전, 헤르츠스프룽이 별들의 색깔을 이해하다
실험 : 별들의 색깔을 구분해 보자 (★★)
28. 100년 전, 바너드가 우주 먼지를 사진으로 찍다
실험 : 우리은하의 먼지를 관찰하자 (★★★)
29. 90년 전, 허블이 우주의 팽창을 발견하다
실험 : 팽창 중인 우주의 모형을 만들자 (★)
30. 50년 전, 닐 암스트롱이 달 위를 걷다
실험 : 달 표면의 약한 중력을 느껴보자 (★)
색인